본문 바로가기

Java 공부

4. Java 자료형 설명 / 자료형 변환(Type Conversion)

자료형이란? : 데이터의 형태를 의미합니다.

 

자료형은 크게 기초형 (Primitive Type)참조형 (Reference Type)의 자료형이 존재합니다.

 

기초형으로 데이터 자료형이 지정된 변수에는 값이 저장되나

 

참조형으로 데이터 자료형이 지정된 변수에는

값이 아닌 참조값(주소)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참조형은 아직 복잡한 개념이니

기초형에 대해 먼저 작성을 하자면

 

자료형 설명 크기 (바이트) 범위
byte 부호있는 정수 1 (바이트) -128 ~ 127
short 부호있는 정수 2 (바이트) -32786 ~ 32767
int 부호있는 정수 4 (바이트) -2147483648 ~ 2147483647
long 부호있는 정수 8 (바이트)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float 실수형 4 (바이트) 너무 많음
double 실수형 8 (바이트) 너무 많음
char 문자형 2 (바이트) /u0000 ~ /uFFFF
boolean 논리형 (True, False) 1 (바이트) True, False (참, 거짓)

 

자료형 마다 담아둘 수 있는 값의 크기와

소수점 유무가 다르므로

변수를 선언할 때마다 자료형을 어떤것으로 지정해야 할 지

잘 고르셔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담아둘 정보가

'XX초등학교 6학년 1반의 학생별 반 번호' 라면

byte로도 충분하고 굳이 int를 쓸 필요가 없는것입니다.


  • TypeConversion 클래스 생성

자료형 변환을 실습하기 위해서

TypeConversion 클래스를 새로 만들어 주새오

요로코롬

 

그리고 이렇게 입력하시고 F11키를 눌러 실행을 시켜주시면...

 

 

9번째 line의 5/3은

계산값이 1.66666....인데도

 

출력해보니 1이 나왔습니다.

 

이는 계산식에서 나눌 대상이 되는 5가 정수이므로

자동적인 형변환이 일어나

소수점 정보는 전부 버리고 1로 계산되었으며

 

d가 실수형이므로 1.0이라는 값이 저장이 된 것입니다.

 

 

...

 

그러나 12번째 line은 동일한 연산임에도 불구하고

(double)이라고 강제적으로 자료형을 지정 해줬기 때문에

계산 값이 정확하게 1.66666...이 출력됩니다.

 

...

 

15번째 line의 1.5+2.5의 계산값은 4가 맞으나

3이라고 나온 이유는

 

1.5를 (int)라고 지정을 해줬기에 1이 되었으며,

2.5를 (int)라고 지정을 해줬기에 2가 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1+2가 되어 값이 3이 되었습니다.


내용 끝.